조선 분청자와 백자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language

하찮은 민족유산일지라도 보전하여

보는 이들의 역사의식과 문화의식을 높이는 동산박물관


조선 분청자와 백자 

    • m05_01_img_08.jpg
    • 도자기는 우리의 수많은 문화유산 중에 뛰어난 예술성과 함께 실용성을 가진 기물이다. 선조들이 만들었던 도자기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서 독특한 기형과 문양으로 한국인의 감성과 미감을 다양하게 나타내었다.

      조선시대의 도자기는 크게 분청사기와 백자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도자기는 발전과정에 있어서 청자에서 백자로 진행하게 되는데, 이 중간과정에서 우리나라의 경우 특징적으로 분청사기가 존재하였다. 분청사기는 조질 태토 표면에 백토분장을 하였고, 백자는 처음부터 백토로 만듦으로서 둘다 백색을 지향하였다.

      - 분청사기
      분청사기는 분장회청사기(粉裝灰靑沙器)의 줄임말로서, 회색 또는 회흑색의 태토(胎土) 위에 백토로 분장하고 유약을 씌워 환원염(還元焰)으로 소성한 조선 초기의 도자기이다. 분청사기란 용어는 원래 옛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1930년대 고유섭(高裕燮, 1905~1944) 선생이 처음 쓴데서 비롯된다.

      분청사기는 15~16세기 조선 전기에 걸쳐 약 200년간 제작되던 것으로, 그 특징은 백토의 다양한 분장기법에 의한 활달함과 율동감으로 나타난다.

      분청사기는 16세기 후반에 점차 쇠퇴하여 16세기말 임진왜란과 함께 완전히 맥이 끊기게 된다. 분청사기의 소멸은 반자질(半瓷質)자기로부터 자질(瓷質)자기이면서 치밀질 백자로의 발전이란 커다란 의의가 있다. 백자는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만들어진 반면에 이처럼 분청사기의 생명은 비교적 짧았다.

      [종류]
      분청사기는 그릇 표면의 백토분장기법에 따라 인화, 상감, 박지, 조화, 철화, 귀얄, 분장 등의 일곱 가지가 있다. 이러한 여러 기법은 전국 각지의 가마에서 각기 독특한 장식효과로 나타난다. 인화 분청사기는 경상도 지역에서, 박지 조화 분청사기는 전라도에서, 철화 분청사기는 특히 충청도에서 많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귀얄 분청사기와 분장 분청사기를 마지막으로 분청사기는 백자화하면서 소멸한다.

      [문양과 기형]
      분청사기의 문양은 고려 말 청자로부터 발전하였으나 청자와는 달리 생동감이 있고 자유분방해 보인다. 백토분장과 회색 태토와의 대비로 문양이 나타나며, 문양 자체는 대담하게 생략되고 변형된 모습이다.

      문양은 주로 선보다는 면으로 나타난다. 인화, 상감, 조화문 등은 작은 개체나 선이 결국에는 집단적인 흰 면으로 나타나며, 박지와 면상감 등은 문양 자체가 면으로 구성되었다. 문양은 주문양과 종속문으로 나뉘는데, 주문양은 사실의 의미와 특성을 살리면서 생략 변형하여 재구성한 것이고, 종속문은 이를 도식적으로 양식화한 것이다.

      분청사기의 문양은 식물문과 동물문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각 개체의 특징과 성격을 잘 나타냈다. 식물문에는 버드나무, 연꽃, 모란당초, 모란, 연당초, 모란잎, 당초, 삼엽, 국화, 매화, 인동초 등이 있다. 동물문으로는 물고기, 새, 용, 어룡(魚龍), 학, 나비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 추상문으로 구름, 빗방울, 여의두(如意頭), 돌림무늬(雷紋) 등이 있다.

      기형은 고려 말 청자의 기형을 토대로 하여 율동적이고 풍만한 형태로 변화하면서, 실용적인 병, 항아리, 대접, 접시 등이 많다. 특히 장군, 자라병, 편병, 매병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병 종류가 나타난다.

      - 백자
      백자는 백토로 성형을 하고 기면에 장식을 한 다음 투명한 백색 유약을 입혀 구워 낸 도자기이다. 절제미와 순수미가 돋보이는 백자는 유교이념을 구현하고자 하는 조선 왕조와 사대부들의 사상과 생활에 적합하였다.

      조선 백자는 처음에 경기도 광주에서 발전하여 점차 지방으로 확산되었다. 조선 백자는 왕실과 중앙 관청용 백자 제작을 전담하던 사옹원(司饔院)의 하급기관인 분원(分院) 즉 관요(官窯)의 설치와 운영 상태에 따라 발전하고 쇠퇴하였다. 광주에서 생산되는 백자는 품질로 보아 상, 중, 하품이 있었다. 상품백자는 좋은 태토와 유약으로 그릇을 만들어 갑발(匣鉢)에 넣어 번조하여 그 품질이 아주 우수한 것으로 이를 갑번(匣燔)이라 하였다. 갑번은 질이 아주 빼어나 왕실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이처럼 경기도 광주에서 최상품의 백자를 생산할 수 있었던 이유는, 기본적으로 질이 좋은 백토와 땔감이 풍부하였고, 또한 한양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완성된 백자는 수로를 이용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종류]
      조선시대 자기의 주류를 이루는 백자의 기본은 순백자이다. 백자는 순백색 바탕위에 어떤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여 문양을 만들었느냐에 따라 순백자, 상감백자, 청화백자, 철화백자, 진사백자 등으로 구분된다.

      [문양과 기형]
      백자는 조선시대 전 기간에 걸쳐 꾸준히 발전해가며 제작되었다. 백자의 기형은 오늘날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생활 도자기의 형태가 대부분이나 독특한 것도 만들었다.

      조선 백자가 일상의 생활기명(生活器皿)으로 자리 잡으면서, 선비들의 정신과 사상에 부합되는 자기로 여겨져 기형을 엄정하고 균형있게 만들었고, 문양장식도 되도록이면 줄였다. 그러나 시문된 문양은 회화적이고 문인화적인 소재로부터 토속적이며 민화적인 소재까지 다양하고, 시기에 따라 특유의 멋과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백자의 사용층이 확대되고 양반층의 해체가 가속화되면서 백자의 문양도 급격하게 바뀌었다. 즉 부귀영화나 무병장수, 다남자(多男子), 입신출세를 뜻하는 길상문(吉祥紋)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조선 전기에 생산된 백자의 기종(器種)은 우리가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그릇의 형태를 거의 망라하는데, 대접, 발, 합, 둥근 접시, 전접시, 마상배(馬上杯), 잔, 병, 주자, 항아리 등을 들 수 있다.

      후기 백자의 기형은 더욱 다양해져 호리병, 각병, 편병 등과 같은 각종 병 종류, 여러 면으로 깎은 각호, 원호, 입호 등과 같은 항아리류, 화분 등과 같은 일상 용기와 연적, 필세, 필통, 지통 등의 문방구류 제작이 중기보다 더 활발해진다. 특히 연적이나 필세의 경우 개구리, 두꺼비, 거북, 복숭아, 산 등의 형태를 모방하여 조형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20세기의 대표적인 예술 비평가인 영국의 하버트 리드는 “한 나라의 예술과 그 감수성의 정밀함은 그들이 만든 도자기에 의해서 판단하라”라고 지적하였다. 대다수 사람들은 우리나라의 전통미술과 조형의식을 알기 위하여 도자기에 주목한다. 이는 도자기가 오랜 기간 한국인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존재하면서 그들의 생활철학과 예술적 감흥이 조형적으로 표출되었기 때문이다.

      주지하고 있는바와 같이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백자의 공통점은 기면의 바탕 색깔이 백색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거기에서 표출되는 예술적 감정은 확연히 다르다. 즉 분청사기가 자유분방한 서민적 정서와 함께 관청용의 정형화된 형식을 담아냈다면, 백자는 풍만한 양감과 함께 검소하면서도 단정한 양식을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같은 백색 바탕의 도자기이지만 성격이 다른 옛 도자기로부터 우리는 한국인의 심성과 공예미의 본질을 느낄 수 있다.

      - 조선 도자기의 용도별 분류 및 명칭
      조선 도자기를 용도에 따라 분류하면 제기(祭器), 식기(食器), 문방구(文房具), 화장용구(化粧用具), 실내용구(室內用具), 도구(道具), 용기(容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에 속하는 대표적인 기종들의 명칭과 용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기(祭器) : 제사나 그 밖의 예식에 사용하는 그릇을 말한다.
      제기접시, 편과기, 편틀, 탕기(湯器), 모사기(茅沙器), 준항(樽缸), 주병(酒甁), 주배(酒杯), 향로(香爐), 향합, 향꽂이, 다관(茶罐), 다종(茶鐘), 지석(誌石)

      2. 식기(食器) :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시대 또는 생활양식의 변화에 따라 질과 형태에서 변화를 보인다.
      사발, 바라기, 입기, 발탕기(鉢湯器), 탕기(湯器), 보시기, 종자, 종발, 찻종(茶鐘), 대접(大蝶), 접시(接匙), 잔(盞), 주전자(酒煎子), 자라병(扁甁), 호로병(葫蘆甁), 사모병(四隅甁), 합(盒), 찬합(饌盒), 양념항아리, 사시(沙匙), 저통(箸筒)

      3. 문방구(文房具) : 서재에 갖추어 두는 용구로 글을 쓰거나 사무를 보는데 필요한 기구이다. 주로 지배계급인 양반이 사용하였다.
      연적(硯滴), 필통(筆筒), 필세(筆洗), 필가(筆架)

      4. 화장용구(化粧用具) : 화장품을 얼굴에 바르고 매만져 곱게 꾸미는데 쓰는 도구이다.
      분합(粉盒), 분접시, 분항아리(粉缸), 분수기(粉水器), 기름병(油甁)

      5. 실내용구(室內用具) : 방안에서 무엇인가를 하거나 만드는데 쓰이는 기구이다.
      등잔(燈盞), 담배합, 재떨이, 화병(花甁), 화분(花盆), 수분(水盆), 분대(盆坮), 화로(火爐), 베갯모, 도침(陶枕), 요강(尿綱), 타구(唾具)

      6. 도구(道具) : 어떤 일을 할 때에 쓰이는 여러 가지 기구.
      약연(藥碾), 강판(薑板), 막자기, 막자, 떡살, 추(錘), 고드랫돌

      7. 용기(容器) : 어떤 물건을 담는 그릇.
      푼주, 항아리(缸), 단지, 부리단지, 대항(大缸), 팔모항아리, 석간주항아리(石間硃缸), 태항아리(胎缸), 병(甁), 대병(大甁), 기름병, 장군

주소 : 충남공주시 반포면 정광터1길 108-8(봉곡리 470) 담당자 : 이정복 문의전화 : 041-858-5009
COPYRIGHT (C) 2006 동산박물관. ALL RIGHTS RESERVED.